반응형

전체 글 149

전압을 어떻게 맞춰요?

간단히 말하자면 : 셀 당 1.8~2.5V 충전한다고 보고 셀 직렬 갯수를 정한다. 복잡하게 말하자면 : 여러가지 논란이 있겠으나, 셀의 전압을 모두 다 쓰지 않고 실 사용 전압을 보고 여유있게 사용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으로 사용할 때도 12V 배터리 실제 전압은 15V까지 간다. 15V 나누기 2.4V = 6.25개이니 6~7개를 써야 한다. 3V 셀 5개를 쓰면 여유가 없다. 셀을 여유있게 써야 하는 이유는 1) 발란싱(셀간 전압편차가 없게 하는 것)을 정확하게 맞춘다고 하더라도 점점 편차가 발생한다. 2) 정격 전압을 넘겨서 쓰면 셀의 열화가 가속된다. 3) 발란싱 회로는 전압 편차를 줄여주는 보조 장치로 보호회로가 아니다.(차단 기능 같은 것은 없다)

카테고리 없음 2020.11.27

슈퍼커패시터 뭘 써야 할지 모르겠는데 뭘 알려 줘야 하나요?

간단히 말하자면 : 적어도 최고 전압, 최소전압(없으면 최고전압의 50%로 추산), 유지 시간복잡하게 말하자면 : 여러가지 논란이 있겠으나, 아래 표를 채우면 된다.필요 에너지 값을 구하고 (E=1/2*C*V^2), CV=it로 전류값도 구해서,1) 최대 전압을 버틸 수 있는지 (셀을 몇 개 쓰는지 결정)2) 최대 전류를 버틸 수 있는지 (셀의 Max. Current를 보고 셀 결정)3) 필요한 시간을 지속해서 버틸 수 있는지 (CV=it에서 보통 전압, 전류, 지속 시간 봐서 용량 정할 때 쓴다)를 보고 한 2~10년 후에 용량 줄어 드는 것까지 고려해서 20% 이상 여유를 두고 설계한다.여기까지 해 놓고 보면 그 다음은 보통 사이즈가 문제...

카테고리 없음 2020.11.27

직렬 연결을 하면 용량값을 나눠요?

간단히 말하자면 : 나눈다. 복잡하게 말하자면 : 여러가지 논란이 있겠으나, . 2.7V(볼트) 3000F(패럿)짜리 셀을 6개 직렬 연결하면, 2.7V * 6직렬 = 16.2V 가 되고 3000F 나누기 6해서 500F이 된다. 반대로 병렬연결하면, 더한다. 2.7V(볼트) 3000F(패럿)짜리 셀을 6개 병렬 연결하면, 2.7V * 6병렬 = 그대로 2.7V 가 되고 3000F 곱하기 6해서 18000F이 된다.

카테고리 없음 2020.11.27

이럴 땐 배터리, 어떨 때 슈퍼캡?

간단히 말하자면 : 1분? 길어야 5분 이하면 슈퍼커패시터 고려. 복잡하게 말하자면 : 여러가지 논란이 있겠으나, 보통 경제성 측면에서 지속시간 5분 넘어가면 배터리. 1분 넘어가면 배터리나 배터리+ 슈퍼커패시터 보조. 1분 미만이면 슈퍼커패시터를 많이 고려한다. 경험적으로.. 하지만 예외는 있다. 수명이 길어야 한다거나,(수리하기 힘든 오지, 바다 저멀리, 사막 저멀리 같이 간단한 수리하러 헬기 띄워야 하는 데 ) 출력이 아주 좋아야 한다거나, (오디오 우퍼 빵빵 쳐 주는..) 너무 춥다거나, (러시아, 알래스카도 시동 걸어야 하니까..) 반응성이 빨라야 한다거나 (번개/벼락 치는 데 전압이 요동치지 않게 중간에 완충)

카테고리 없음 2020.11.27

대전류 Plasma 발생기 Tokamak

간단히 말하자면 : 짧고 굵게 대전류를 발생시켜야 하면 슈퍼커패시터가 비용, 크기 면에서 좋다. 복잡하게 말하자면 : 여러가지 논란이 있겠으나, 유사한 활용처로 1) 대전류 발생기 : 전력 부하가 큰 테스트 장비 2) 플라즈마 발생기 : 원자력 발전, 토카막(핵무기 개발?) 등에 플라즈마 발생시키려면 큰 순간전류가 필요하다. 3) 배터리 충방전기 검교정기 테스트용 부하 등에 쓰일 수 있다.

카테고리 없음 2020.11.27

슈퍼커패시터를 차량 본넷 안 어디에 설치해야 해요?

간단히 말하자면 : 배터리 설치된 곳 복잡하게 말하자면 : 여러가지 논란이 있겠으나, . 뒷 트렁크 등 어쨌든 엔진룸 외부의 가급적 열 받지 않는 곳이 좋겠지만, 보통 공간이 없을테니 배터리 설치된 곳에 가급적 같이 두는 것이 일반적으로 좋다. 배터리도 전해액이 들어있고 온도에 취약하기 때문에 가장 영향이 덜한 곳일 확률이 높다. 그리고 자체 발열보다는 외부 온도의 영향이 크니까 방열보다는 단열.

카테고리 없음 2020.11.26
반응형